2020. 11. 6. 12:57ㆍ밀리터리
현대 전장은 군대의 빠른 이동 속도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소리보다 더 빠른 신무기들이 대량으로 사용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나 대기권 밖에서 마하5 이상의 속도로 비행을 하며
표적을 향하여 날아가 타격을 할 수 있는 극초음속 무기 등장은
미래 전쟁의 승패를 완전하게 뒤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요격 미사일들을 자유롭게 피해 다닐 수 있는 회피기동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현존 요격 미사일의 시스템으로는 도저히 방어할 수 없을 것이다.
이뿐 아니라 저공비행으로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기에 공격하고자 하는 공격 목표물을 정확히
예측할 수가 없을뿐더러 만약 탐지를 한다 하더라도 극초음속 무기의 속도와
요격미사일의 상대 속도가 너무 빠르기에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거리와 시간
그리고 기존의 탄도미사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을 것이다.
그렇기에 극초음속 미사일의 요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볼 수 있다.
어느 군 관계자 말에 따르면, 마하5 이상 극초음속 미사일은 1초 만에 2Km를 날아갈 수 있는데,
관제 레이더가 포착하고 발사까지 7초 안에 요격이 되어야 하는데
이 7초가 넘어가 버리면 미사일 요격률이 현저히 떨어져 요격률 0%에 가까워진다고 전했다.
또한 극초음속미사일은 극초음속 비행체 그리고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두 가지 종류로 분류가 되는데 우선은 극초음속 비행체는(Hypersoic Glide Vehicle)
탄도미사일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상승 이후 활공을 하면서 비행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비행체 속도는 발사체 탄도미사일의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마하20
시속으로 환산을 하면 시속 대략 24,000Km 이상의 속도를 낼 수가 있다.
반면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공기흡입식의 스크랩 제트(Scramjet) 엔진을 장착하는데,
(마하20의 속도면 1초에 6.7Km 날아갈 수 있다)
램제트 엔진의 일종인 스크램제트엔진은 외부에서 유입이 되는 공기의 속도 흐름을 초음속으로 유지한 상태로
연료 연소를 시켜 추력을 얻어네는 방식이다. 이론적으로 마하15 정도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기술적인 한계로 인하여 마하10 이상의 속도는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미사일은 아음속 그리고 초음속의 속도만 낼 수 있는 반면에
극초음속 무기는 그 이상의 빠른 속도로 비행을 하기에
전쟁의 주도권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또한 목표물을 향해 가는 순수 운동에너지만으로도 어마 무시한 파괴력일 것이다.
그래서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중국은 모든 기술을 총동원하여 극초음속 무기를 개발하려고 하는 것이다.
지금의 기술로서는 극초음속무기를 요격을 한다거나 방어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 또는 대책이 없기에
미국을 중심으로 군사 선진국들은 차세대 전략무기로 극초음속 무기를 개발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며,
현재 개발 중인 극초음속 무기를 실전에 배치할 경우에 물리적 거리는 더 이상 제약이 되지 않을 것이다.
전장의 흐름을 결정짓는 극초음속 무기
세계의 흐름과 한국의 극초음속 무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최초의 극초음속 무기의 개념은 미국으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렇지만 극초음속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극초음속 무기를 만든 나라는 러시아 그리고 중국이다.
러시아와 중국은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무너트릴 수 있는 전략의 하나로 극초음속 무기 개발이라는 카드를 뽑아 들었고
일정 부분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현존 가장 강력한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요격 미사일조차도
극초음속 미사일 요격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며,
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하여 현재 미국은 추적 레이더 성능을 강화하고 컴퓨터의 연산속도를 더욱더 빠르게 개량하는 등의
극초음속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극초음속무기를 배치한 나라라고 주장하였는데,
러시아는 과거를 거슬러올라가 보면 1991년에는 구소련 최초의 스크림제트 엔진 GLL 호로드(Holod)로
마하5.8의 속력 개발을 시작으로 하여 극초음속 무기 개발 진행을 하였지만
구소련 체제 붕괴와 정부 지원 중단으로 인해 1992년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극초음속 무기 개발 계획이 중단되었다.
그 이후 비밀에 묻혀있던 러시아 극초음속 무기 개발은 2013년 8월 러시아 방산업체 관계자
그리고 러시아 부총리의 공식 언급으로 인하여 세상으로 나오게 된 것이다.
또한 러시아는 극초음속 폭격기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현재는 러시아의 정부가 공개한 극초음속 무기는 모두 3가지 종류로
사거리 1,000Km 최고 속도 마하8 의 3M22(NATO 코드 SS-N-33)
지르콘(Zircon)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최대 사거리 3,000Km에 최고 속도 마하10 의
Kh-47M2 킨잘(Kinzhal)공대지 극초음속 탄도미사일
최고 속도 마하20 이상으로 향후 극초음속 폭격기 혹은 극초음속 정찰기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Yu-71s(Project 4202) 아방가르드(Avangard) 극초음속 무기체계가 있다.
중국은 극초음속 무기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이다.
2014년부터 극초음속 무기 개발을 하는 정황들이 서방세계 정보기관에 포착되었는데
이에 침묵을 했던 중국은 지난 2016년 1월 중국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를 통하여 극초음속 무기 개발 사실을 인정하였다.
해방군보에 기사에 따르면 지구상의 어떠한 목표물도 1시간 이내에 타격을 할 수 있는 극초음속 비행체를 개발 중에 있다고 밝혔으며,
2018년 8월 중국 국제전문지 참고소식을 통하여 마하6 의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 성공을 하였으며
극초음속 무기 개발 경쟁에 있어 중국 또한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중국 항천공기동력기술연구원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로켓으로 발사된 극초음속 비행체는 발사 10분 뒤 고도 30,000m 상공에서 로켓과 분리되었으며
400초 동안 마하 5.5~6의 속도로 다양한 동작의 시험을 완수하고 예정된 지점에 낙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년 1월 ~ 2016년 4월까지 7번의 발사 실험이 이루어졌다고 하며 이 중에 6번을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록된 최고 비행속도는 마하10 이며 2020년 본격적인 실전 배치가 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1960년대에 'X-15' 실험기를 이용하여 사람을 직접 태우고 극초음속 비행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지난 2011년 Prompt Global Strike 즉 전 세계 신속 타격 계획에 일환으로서
극초음속 비행체 Advanced Hypersonic Weapon의 실험을 진행을 한 바도 있다.
하지만 그 이후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며 러시아와 중국에 추월을 당한 상황이긴 하지만,
미국은 러시아와 중국의 극초음속 기술을 다시 추월하기 위하여 극초음속 무기 개발에 있어
대규모의 국방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최근 2020년 극초음속 무기 실전 배치 목표로 극초음속 무기 개발에 무지막지한 국방예산과 기술 연구를 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지난 2018년부터 극초음속 기술, 무기 개발 연구를 최우선으로 추진을 하고 있으며,
2019년 한 해에만 극초음속 무기에 대한 연구에 2억 5,700만 달러, 한화로 약 3,136억 원을 투자를 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136%나 증가한 수치이다. 이 금액은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그리고 미 공군은 지난해 6월 B-52 폭격기를 이용하여 마하20 의 속도로 비행을 하는 신속 대응 무기인 AGM-183A시험발사에 성공하였으며,
미 육군은 극초음속비행체를 장착한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를 2023년쯤 배치할 예정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러시아, 중국 등 국가들이 극초음속 무기 개발에 집중을 하고 있는 동안에
미국은 극초음속 무기를 요격할 수 있는 방어 시스템 개발 또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 '다르파'에서 극초음속 무기를 요격할 수 있는
글라이더 브레이커 계획 추진을 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강력한 창과 방패의 두 가지를 동시에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대한민국의 상황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민간, 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해서 극초음속 무기와 관련된 소재와 엔진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 국방과한연구소를 중심으로 해서
핵심기술 확보에 사력을 다하고 있으며, 최근 차세대 발사체에 사용할 로켓 기반의 복합 사이클(RBCC) 엔진,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에 사용할 이중 연소 램제트(DCR) 엔진 기술을 연구를 하고 있다.
2000년대부터 극초음속 관련 기술 개발 진행이 되었는데
항공우주연구원 KARI가 단독으로 설계/제작을 한
마하6.7 급의 극초음속 흡입구 초음속 연소기를 일본의 극초음속 추진기관 시험설비 시설을 활용하여 실험에 성공하였다.
극초음속 미사일 엔진은 스크램제트 엔진을 시험하는 설비가 당시 한국에는 없었는데 (우리가 기술이 없는 줄 알아?!)
2009년에 스크램제트 엔진을 시험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2015년부터는 가시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보이고 있다.
램제트와 스크램제트 엔진을 혼합한 이중 램제트 엔진에 로켓엔진을 합친 RBCC 엔진과 이를 포한하는 15톤 급 재사용 발사체에 대한
핵심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재사용 발사체는 초기 가속 이후에 마하 3.0 ~ 6.0까지는 램제트모드로
마하6.0 ~ 11 까지는 스크램제트 모드로 동작을 하며 이후 2013년까지 1종의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 시험
2종의 탄화수소 스크램제트 엔진 연소 시험과 1종의 단열재 공력 가열 시험을 성공적 마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한국의 극초음속 무기에 대한 개발은 다른 주변국들보다 늦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까지의 다른 나라들이 50여 년 이상 걸렸던 결과물들을 우리나라는 10여년만에 이뤄내고 있다.
이외에도 현재 우리가 개발 중인 레이저무기와 레일건과 같은 미래 에너지 무기에 극초음속 무기 대응 능력을 같기 위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다.
만약 이러한 계획이 성공을 한다면 미래 전장에서 우리나라는 강력한 창과 방패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극초음속 무기와 극초음속에 대한 대응 무기를 동시에 보유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한국의 앞으로 더욱 강력한 군사력으로 가지게 될 것이다.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해군 209급 잠수함 성능개량!! (0) | 2020.11.07 |
---|---|
한국 AESA레이더 기술 :: KFX (0) | 2020.11.06 |
KFX 사진 모음 (0) | 2020.10.30 |
펌))해군의 장기항해 (1) | 2020.10.30 |
F-35 스텔스전투기 도입 :: 3차 FX산업 (0) | 2020.10.28 |